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9월 재산세 납부방법 및 카드 할인 혜택

by 통큰언니 2024. 9. 17.
반응형

서론 오늘은 재산세납부 방법과 카드혜택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떻게 납부해야 할지 고민하시겠지만 여러분들의 걱정을 덜어 들리고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재산세 납부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리고,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때 카드사별 다양한 혜택도 소개하겠습니다.

재산세란?

재산세는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며, 주로 부동산, 자동차, 기타 자산에 대해 부과된 됩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징수합니다.

재산세의 세율과 과세 기준은 지역마다 다를 수 있으며, 세금의 수익은 지역 사회의 공공 서비스, 예를 들어 교육과 도로 유지보수 등에 사용됩니다.

재산세는 보통 매년 부과되며, 소유자가 해당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 기간 및 계산 방법

재산세의 납부 기간과 계산 방법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사항의 아래와 같습니다.

납부 기간

재산세는 일 년에 두 번, 7월과 9월에 납부해야 하며 매년 7월 16일~31일까지이며,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납부하시면 됩니다.

  • 7월 납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에 대한 재산세입니다.
  • 9월 납부: 주택, 토지에 대한 재산세입니다. (주택의 경우 한 번에 납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7월, 9월에 50%씩 나눠 납부하도록 되어 있어요) 단, 세액이 20만 원 이하인 분들은 7월에 일괄 납부 하시면 됩니다.
  • 연간 납부: 보통 매년 부과되며, 납부 기한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합니다. 일반적으로 6월과 12월에 나누어 납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고지서 납부: 재산세 고지서는 보통 매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발송됩니다.

기간 안에 납부하지 않으시면 3%로의 가산금이 발생하며 금액에 따라 압류될 수도 있으니 꼭 기한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계산 방법

  1. 과세표준 결정: 재산의 시가표준액(감정가치 또는 공시지가 등)을 기준으로 과세표준을 결정합니다.
  2. 세율 적용: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한 세율을 과세표준에 곱하여 재산세를 계산합니다. 세율은 일반적으로 0.1%에서 0.4% 사이입니다.

계산 예시

  • 만약 재산의 시가표준액이 1억 원이고, 세율이 0.2%라면:
    • 과세표준 = 1억 원
    • 재산세 = 1억 원 × 0.2% = 20만 원

정확한 세율 및 납부 기간은 거주하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거나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과 조회 방법

  • ARS납부: 자동이체 (계좌 및 신용카드)를 통해 ARS (1599-3900)으로 납부
  • 금융기관 이용: 방문 납부 또는 인터넷뱅킹 전용계좌 납부
  • 지방세 인터넷, 스마트폰 납부 : 위택스, 스마트 위택스를 통해 납부

조회 방법: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 > 간편 인증 실시 > 우측 화면에서 "나의 할 일"에 납부할 재산세 표시

아래 위택스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재산세납부

재산세 신용카드 납부 시 혜택

  1. BC카드: 최대 12개월 무이자 할부
  2. NC농협 카드: 최대 6개월 무이자 할부
  3. 신한카드: 캐시백 혜택 0.1% 무이자할부(이벤트 기간 중)
  • 재산세 카드혜택

세금을 10만 원 이상 결제 하면 7천 원의 캐시백을 제공하는 직장인 보너스 체크가드가 있어요. 비율이 아닌 정액으로 제공하는 캐시백 혜택이며, 납부하는 재산세가 100만 원 이하인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재산세 납부를 개인 체크카드(신한)로 납부하는 체 회원이라면, 전체 납부 금액의 0.1% 현금 캐시백을 받을 수 있어요. 단 현금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이라면 마이신한 포인트로 적립됩니다.

S-LINE 체크카드는 연회비 없이 편하게 재산 세을 납부할 수 있어 체크가드로 세금 납부 혜택을 받고 싶으신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재산세 납부방법, 할인 혜택을 알아보았습니다. 알려드린 정보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